만물이 겨울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이란?
본문 바로가기
이슈

만물이 겨울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이란?

by 미덕 의 2023. 3. 8.
반응형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경칩이란?

 

계절: 봄 (음력 2월)

 

날짜: 양력 3월 5일경

 

 

관련속담: 경칩 자난 게로군.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이 겨울잠을 깬다. 

 

경칩이란 24절기 중 세번째 절기, 계칩이라고 한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 동지 이후 74일째 되는 날이다. 양력 3월 5일 무렵이 된다. 

 

내용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이즈음이 되면 겨울철의 대륙성 고기압이 약화되어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이  주기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한난이 반복된다. 그리하여 기온은 날마다 상승하며 마침내 봄으로 향하게 된다.

 

한서에는 열 계자와 겨울잠을 자는 벌레 칩자를 써서 계칩이라고 기록되었는데, 후에 한 경제의 이름인 계를 피휘하여 놀랠 경자를 써서 경칩이라고 하였다. 

 

 

옛사람들은 이 무렵에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를 들은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동의보감, 논일원십이회삼십운에는 동면하던 동물은 음력 정월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경칩에 해당하며 음력 9월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는 입동에 해당한다. 라고 밝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기, 월령에는 ' 이월에는 식물의 싹을 보호하고 어린 동물을 기르며 고아들을 보살펴 기른다. 라고 되어 있다. 이는 경칩이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이므로 이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왕이 농사의 본을 보이는 적전을 경칩이 지난 해일에 선농제와 함께 행하도록 정하였으며,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 또는 갓 다라는 풀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을 놓지 말라는 금령을 내리기도 했다. 

 

 

성종실록에는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하였듯이 우수와 경침은 새싹

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이다. 

 

속신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물이 풀린다고 하여 완연한 봄을 느끼게 된다. 초목의 씩이 돋아나고 동면하던 벌레들도 땅속에서 나온다고 믿는다. 

 

이날 농촌에서는 산이나 논의 물이 괸 것을 찾아다니며, 몸이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개구리 또는 도롱뇽 알을 건져다 먹는다.  또 경칩에서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특히 빈대가 없어진다고 하여 일부러 흙벽을 바라기도 한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재를 탄 물그릇을 방 네 귀퉁이에 놓기도 한다. 경칩에는 보리싹의 성장을 보아 그 해 농사를 예측하기도 한다.

 

또한 고로쇠나무를 베어 그 수액을 마시는데, 위장병이나 속병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히 전남 순천의 송광사나 선암사 일대에서 채취한 고로쇠 수액은 유명하다.  보통의 나무들은 절기상 2월의 중기인 춘분아되어야 물이 오르지만 남부지방의 나무는 다소 일찍 물이 오르므로, 첫 수액을 통해 한 해의 새 기운을 받고자 하는 곳이다. 

 

 

고로쇠 수액은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어 일기가 불순하면 좋은 수액이 나오지 않고, 날이 맑아야만 수액이 효과가 있다. 

경칩이 지나서는 수액이 잘 나오지 않으며, 나오더라도 그 수액은 약효가 적다. 이처럼 경칩은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로, 움츠려 지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력이 소생하는 절기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