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은 한자 그대로 '땀이 많이 나는 증상'을 일컫는다. 땀이 나는 것은 체온 조절을 위해 분비되는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다한증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땀이 나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고온다습한 날씨 탓에 안 그래도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 다한증 환자 고통은 더욱 심해진다.
다한증은 신경전달 과민반응에 따른 자율신경계 이상 현상이다. 특별한 원인이 없는 '일차성 다한증' 과는 다른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다한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부위에 따라서는 손, 발, 겨드랑이 등 특정 신체 부위에서만 땀이 나는 '국소 다한증과' 과 전신에 분비되는 '전신 다한증'으로 나눈다. 결핵, 당뇨병, 울혈성 심장질환, 갑상샘항진증 같은 질환이 원인일 경우 주로 전신 다한증이 많다. 척추에 병이 있거나 신경계통의 질화, 뇌에 병이 있을 때는 국소 다한증이 주로 나타난다.
다한증의 가장 큰 문제는 '스트레스'다 다른 이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면서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한다. 예를 들어 손 다한증 환자는 시험지나 책이 땀으로 젖는 것을 물론, 사회생활에서는 악수조차도 부담스러울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피아노 전공자나 야구 선수 등 주로 손으로 무언가를 하는 업무에 종사할 경우 일에 차질을 빚기도 한다. 겨드랑이 다한증 환자는 땀으로 인한 불편함은 물론 액취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더 큰 스트레스를 느낀다.
송승환 인제대 상계백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부위별로 땀 분비를 자극하는 요인이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피나 안면 다한증의 경우에는 긴장 되는 상황, 또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눈다. 비수술적 치료는 약물 치료가 가장 흔하다. 바르는 약과 먹는 약을 처방할 수 있다. 바르는 약 중에서 초기에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염화알루미늄'이다. 주로 손, 발, 겨드랑이 등 국소 부위에 바르며, 해당 부위를 께끗하게 씻고 건조시킨 후 약을 바르고 수 시간 뒤 씻어내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먹는 약은 전신 다한증에 많이 처방한다. 대개 '항콜린성 약물'을 사용한다. 이 밖에도 보톡스를 주입해 땀 분비를 방지하는 '주사 치료' 증상이 있는 부위를 물에 담근 상태에서 전류를 전달해 증상을 완화하는 '이온영동 치료'를 쓰기도 한다.
국소 다한증 환자에게는 수술 치료 효과가 좋은 편이다. 작은 내시경을 사용해 환자 신체에서 땀이 많이 나는 부위와 관련이 있는 신경을 절단하는 방식이다. 송승환 교수는 '내시경 수술은 다한증 환자에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수술로 안전성도 검증된 상황' 이라며 '많지는 않지만 수술 후 부작용으로 '보상성 다한증' 이 생길 수도 있다. 기존 부위에서는 증상이 완화 됐지만 다른 부위에 땀이 나는 증상이다. 하지만 최근 의료 기술 발달로 보상성 다한증 빈도가 낮아졌고 항콜린성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증상 조절에도 어려움이 없다.' 고 말했다.
( 매경 ECONOMY 2022. 7. 6 ~ 7. 12 2166호 나건웅 기자)
'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땀 냄새를 해결하는 노력 '액취증' (0) | 2022.07.28 |
---|---|
면역치료로 암 극복을 위한 노력 (0) | 2022.07.25 |
구강암을 예방을 위해서 구강 위생관리를 철저히.. (0) | 2022.06.20 |
발목 염좌와 치료법 (0) | 2022.06.06 |
손발 저림 (0)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