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건강한 사람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음이 건강한 사람들

by 미덕 의 2022. 3. 21.
반응형

건강은 질병 없이 몸이 튼튼한 것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몸만큼이나 마음의 건강도 중요하다. 사실 마음이 건강하지 못하면 생활은 물론 몸의 건강까지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면은 몸보다 그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 그러면 본인의 내면이 건강한지 알아볼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감정 컨트롤을 잘한다

내면이 강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비난과 멸시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 타인의 비난과 멸시에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결국 본인만 손해라는 걸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욕을 하고 삿대질을 하기 보다는 그 상황과 본인이 거기서 느낀 바를 이성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마음이 건강한 사람들이다. 마음, 내면이 건강한 사람들은 스스가 어떤 사람인지 그리고 어떤 점이 부족하고 어떤 점이 강점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스스로가 다룰 수 있는 경험의 스펙트럼을 끊임없이 넓힐 수 있습니다. 

* 나쁜 말 버릇 버리기

뇌에는 각각 긍정적인 사고와 부정적인 사고를 하는 회로가 있다. 이 회로는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많이 쓰는 쪽으로 발달한다. 오늘도 "짜증 나" "너무 싫어" 등 부정적인 의미가 강한 말을 했다면 내일 부터는 "좋아" "잘될 거야" 등 긍정적인 의미가 담긴 말로 바꾸어야 한다. 또한 의식적으로 "꼭"  "너무" "반드시"  "~해야만 한다" 같은 단정짓는 말은 하지 않는다. 설령 지금 최악의 상황에 처했더라도 긍정의 말을 하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남과 비교하지 않는다

"내 인생의 모든 날이 행복한 날이었다" 시각, 청각, 장애를 안고 살았던 헬렌켈러의 말이다. 이런 그가 행복을 가른 결정적인 것은 행복을 어디에서 찾았느냐입니다. 그는 남들과 비교하기 보다는 자신을 발견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산 것이 차이라고 지적합니다. 남과 비교하는 것은 자신의 행복을 외부의 영향에 두는 것과 같습니다. 남과 비교하는 것만큼 자신을 위축시키는 것도 드뭅니다. 위축은 약한 사람으로 만들기도 하고  위축을 감추거나 만회하기 위해 파괴적인 성격 또는 경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마음이 편안할 날이 없습니다.  지금 나의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고 타인의 평가에 개의치 않고 만족할 때 당당한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나의 좋은, 나쁜 점 모두를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남과의 비교"에서 편안해질 수 있고 나에 대해 당당해지는데 도움이 됩니다. 여기서 인정이란 나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것입니다. 마음이 건강한 사람은 남과 비교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인생이 행복한 나날로 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